쌀을 지켜야 하는 이유는? 쌀을 지켜야 하는 이유는? 벼농사를 지키는 것은 곧 논을 지키는 것이다. 그리고 논을 지키는 것은 이 땅위에서의 우리 삶의 토대를 지키는 일이다. 세계의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1950년에 세계인구는 25억명이었으나 지금은 약 60억명으로 늘어났다. 인구증가는 반드시 식량의 증산을 요구하면서.. 쌀이야기 2009.07.29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벼를 재배 했을까?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벼를 재배 했을까? 우리나라 벼농사의 시작은 지금부터 약 5,000여년 전쯤에 중국 양쯔강과 화이허강 유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 고양군 가와지유적지에서 약 5,000년 전으로 여겨지는 토탄층에서 볍씨들이 발견되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책인.. 쌀이야기 2009.07.29
연대별로 개발된 벼품종은? 연대별로 개발된 벼품종은? 농촌진흥청이 발족된 60년대에는 주로 일반형 품종을 개발하였으나 당시 만성적인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70년대에 들어오면서 수량이 많이 나는 통일품종을 본격 개발하였다. 70년대 후반 통일형 품종의 개발 보급으로 쌀 자급을 이룩하였고, 80년.. 쌀이야기 2009.07.25
쌀 쌀 흰 옷 입고 흰 밥 먹으며 푸른하늘 흰구름 가듯 대대로 살았네. 흙으로 백자를 구어내듯 흙에서 얻은 하얀 쌀 맑은 물로 밥 지어 반만년을 먹었네. 신토불이 아니라도 김 오르는 흰 밥 우리네 피가 되고 살과 뼈가 되어 마침내 우리네의 마음 되었네. 흰옷은 벌써 오래 전 온갖 빛깔들의 홍수에 밀려 .. 쌀이야기 2009.07.18
벼가 우리나라에 전파된 경로는? 벼가 우리나라에 전파된 경로는? 재배 벼는 원산지가 ①인도, ②동남아(아샘-미얀마-원난), ③중국 등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동쪽으로는 육로 또는 수로를 통해 중국, 필리핀, 한국, 일본 등지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나라에 벼가 전파된 경로를 살펴보면 원산지인 인도의 아삼, 원난 지역에.. 쌀이야기 2009.07.18
쌀과 한민족 쌀과 한민족 쌀은 우리민족의 역사와 함께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삶과 환경을 지켜주었고 문화적 전통을 유지할 수 있게 우리에게 정착된 삶의 터전을 이루게 하였다. 어째서 쌀이 우리에게 그렇게 소중한 존재인가 다시 한번 되새겨 볼일이다. 최근 1만 3천년도 더 된 토탄층에서 고대 벼 껍질이 발.. 쌀이야기 2009.07.13
쌀 문화 변천단계의 구분 쌀 문화의 변천단계는 어떻게 구분되나? ※ 제1기 (일제점기 ~ 1959년) : 식량의 절대 부족기 이 시기는 식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시기로 먹을 것이 부족하여 풀과 나무껍질 등도 먹었던 시기였으며, 특히 6.25 전쟁의 영향으로 식량사정이 나빠 겨우 생명을 유지하는 수준의 식생활을 해 왔던 혼란시.. 쌀이야기 2009.07.06
논의 공익적 가치 논의 공익적 가치 ○ 홍수조절 기능 우리나라의 논둑은 보통 27cm 정도로 홍수 때 논에 가둘 수 있는 물의 양은 약 36억 톤 정도입니다. 이 양은 춘천댐 총 저수량의 24배에 해당됩니다. ○ 지하수 함양 논을 통해 땅으로 스며드는 물의 양은 약 158억 톤 정도로 전 국민이 1년간 사용하.. 쌀이야기 200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