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지도개발분야 해외연수 보고서

아침햇쌀 2010. 10. 18. 20:23

Ⅰ. 연수의 배경 및 연수 세부내용

1. 연수의 배경

  ○ 농업환경과 농업인의 지도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인의 요구에 맞는 실용적인 지도사업 추진을 위하여 선진국의 농촌지

     도체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할 필요성이 있음

  ○덴마크의 중앙 지도기관은 올해 당초 기관명인 Danish Agricultural Advisory Services를 Knowledge Centre for Agriculture로 개칭하는 등 지식정보화사회에 대응한 새로운 위상과 역할 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어 벤치마킹 필요

2. 연 수 국 : 덴마크

3. 연수목적

  ○ 농업환경과 농업인의 지도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인의 요구에 맞는 실용적인 지도사업 추진을 위하여 선진국의 농촌지도체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 전력 수립

  ○덴마크의 중앙 지도기관의 명칭변경(Danish Agricultural Advisory Services를 Knowledge Centre for Agriculture)에 따른  지식정보화 사회에 대응한 선진사례 적용 

4. 연수기간 : 2010. 9. 12 ∼ 9. 17(6일)

 5. 연수 세부내용

일자

지역 

교통편 

시간 

일     정

제1일

09/12(일)

 Incheon

Copenhagen

KL866

 

KL1139

13:55

 

20:55

○ 인천 국제공항 출발

○ 경유 : 암스테르담(17:55도착)

암스테르담 출발 → 코펜하겐 도착(22:15)

제2일

09/13(월)

Copenhagen

Horsens

 

기 차

 

○ 농식품가공 공장 견학(칼스버그 맥주 공장)

○ 코펜하겐 출발 → Horsens 도착

   (Byghlom Agricultural College)

제3일

09/14(화)

Horsens

 

전일

 

○ 덴마크 지도사업 연수프로그램(1일차)

 * 세부 연수프로그램 일정 별첨

 - 덴마크 농업 및 식품산업 현황, 농촌지도사업의 발달, 농촌지도사업 체계(지방과 중앙의 연계, 조직, 역할, 기능), 농촌지도와 연구의 연계, 농업인교육체계와 Bygholm농업대학 활동 등에 대한  강의와 토론

제4일

09/15(수)

Horsens

전용

버스

전일

○ 덴마크 지도사업 연수프로그램(2일차)

 - 낙농가 방문 : 지도사업에 있어 농업인의 역할

 -지방 지도기관 방문: 조직체계와 센터의 운영,  지도 서비스 제공 현황(요금, 효율성, 품질보증 등)

 - 중앙 지도기관 방문 : 농촌지도인력의 인적자원 관리 및 역량개발 현황, DLBR아카데미 현황

 - 농업기술 혁신을 위한 AGROTEC 전략 강의

 - 종합토론 등

제5일

09/16(목)

Billund

KL1346

 

KL 865

14:55

 

18:05

○ Billund 국제공항 출발

○ 경유 : 암스테르담(16:10도착)

○ 암스테르담 출발

제6일

09/17(금)

Incheon

KL865

11:20

○ 인천 국제공항 도착

 


Ⅱ. 덴마크 주요연수 수행사항, 관련정보 및 자료의 분석

 1. 일반현황

 

 

 

국    명

덴마크 왕국 (The Kingdom of Denmark)

위    치

북위 54~57도, 동경 8~15도에 위치하는 유틀란드 반도 및 406개 섬으로 구성

언    어

 덴마크어

기    후

멕시코만 난류의 영향으로 온난다습한 해양성기후 2월평균 영하 0.4도,   7월 16.6도 이며, 연평균 강우량은 664㎜ (강우 연간 약 160일)

면    적

 43,093㎢ (자치령 그린란드 및 페로제도 제외) * 한반도의 1/5

인    구

 534만명(2008년 현재)

수    도

 코펜하겐(인구 : 50만명)

주요지형

독일과 연결된 유틀란드(Jutland)반도, 코펜하겐이 있는 씨일랜드    (Zealand)섬, 안데르센의 고향 오덴세가 있는 휜(Fyn)섬 등

종    교

 Evangelical Lutheran Church(루터복음교)를 국교(Established       Church of Denmark)로 지정하고 있음(인구의 약 83%),

 그 외 카톨릭, 침례교, 유대교

교    육

의무교육기간 : 9년 (7-16세)

종    족

 아리안계의 덴족, 고트족 * 전체인구의 96%가 북게르만계의 덴족

국 경 일

 4.13 (여왕 탄생일)

헌    법

 1849년 제정 (1901년, 1953년 각각 개정)

국가형태

 입헌군주제

국가원수

H. M. Queen Margrethe II (1972.1.15 즉위)

총    리

Mr. Anders Fogh Rasmussen

의    회

 단원제(총 179석, 그린란드와 패로 제도에 각 2석 할당) 임기 4년

화폐단위

 덴마크 크로네(Dannish Krone, Dkr) 유로(Euro)화 일부 통용       1Dkr=209원 (2010. 9)

GDP(2007)

 GDP : 3,114억불   1인당 GDP : 57,021불

교역(2007)

 수출액 : 959억불,  수입액 : 925억불

    2. 경제현황

 가. 경제성장률

      덴마크 경제성장률은 1995~2005년까지 2%를 넘는 비교적 활발한 성장을    보였으나, 2001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률 감소추세를 보여 2003년에는  0.4%의 성장에 그침

      2004년 하반기부터 실시한 개인소득세 감면조치와 낮은 이자율에 따라 개인  소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부동산 가격의 상승과 함께 총고정투자도 증가 하여 2004년 2.5%, 2005년 3.1%에 이어 2006년에는 3.3%의 경제성장률 기록

      2007년에는 낮은 실업률에 따른 노동력 부족과 임금상승  및 미달러대비 평가절상으로 인한 경쟁력 상실이 수출둔화를 초래하고 개인 소비 증가율도 하락하여 경제성장률이 1.9%에 그쳤는데 이러한 하향세는 2008년에도 이어져 올해 경제성장률은 1.7%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

      ○ Danske Bank는 지난 4월 발표한 자료에서 올해 GDP 성장률을 1.4%로 예측하였으며 EIU도 07.12월 발표 자료에서 1.4%(2007.12)로 예측

      전반적인 노동력 부족과 이에 따른 임금 및 물가 상승은 대외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어 내수와 수출의 감소, 기업 파산 증가, 경제 성장의 둔화라는 악순환의 위험에 빠질 우려

  나. 거시경제지표 추이

  

구 분

단위

2003

2004

2005

2006

2007

GDP

U$억

2,111

2,417

2,567

2,752

3,114

1인당 GDP

U$

39,209

44,742

47,434

50,625

57,021

경제성장율

%

0.4

2.5

3.1

3.3

1.9

실 업 율

%

5.9

5.9

5.7

3.5

2.5

물가상승율

%

2.0

1.1

1.8

1.8

1.7

총 수 출

U$억

662

755

844

915

959

총 수 입

U$억

565

668

753

849

925

환    율

U$1=DKK

6.5899

5.9919

6.0034

5.9470

5.4456

   * 자료원: 덴마크중앙은행, 덴마크 통계청

   * 환율은 연도별 평균 환율

   다. 통상 및 경협관계

 (1) 교역현황(한국기준)   (단위 : 백만불)

구분/년도

2004

2005

2006

2007

수  출

639

620

653

463

수  입 

471

560

574

702

수  지

168

60

79

-239

무역액

1,110

1,180

1,227

1,163

                                         

   ○ 한국의 대덴마크 수출은 90.7%의 높은 증가세를 보인 2004년 이후 연 6.2~6.5억불 규모를 유지하였으나 2007년에 감소세로 반전

        - 2007년 우리나라의 대덴마크 수출은 주종 수출품목인 승용차, 무선전화기, 칼라 TV 등의 부진으로 크게 감소

      반면 덴마크로부터의 수입은 의약품, 화학기계, 돈육, 펌프, 선박부품 등의 호조에 힘입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

  (2) 주요 무역품목

      ○ 수출품 : 승용차, 선박, 선박용 엔진 및 부품, 무선 수신기, 무선전화기, 타이어, 전동축 및 기어, 주단강, 합성  수지, 자동차 부품 순

      ○ 수입품 : 발전기, 가축육류(돼지고기 등), 의약품, 밍크모피, 화학기계, 펌프, 밸브, 선박용 엔진 및 부품, 가열 난방기, 배전 및 제어기 순

     (3) 투자 동향

 (가)  덴마크의 대한국 투자 (단위 : 천불)

구분/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합계

투자건수

7

5

5

3

6

5

61

투자금액

3,598

6,906

1,138

4,914

9,993

325

167,529

                           

      ○ 주요 투자 기업

       : Grundfos(펌프), Novozyme(효소), Novonordisk(인슐린), Hempel(페인트), Glud & Marstrand(메탈 캔), Roulunds    Fabriker(자동차 부품), Damcos(선박용 펌프 및 밸브), Ole Wolff Electronic(휴대전화 부품) 

      (나) 한국의 대덴마크 투자 (단위: 천불)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합계

투자건수

3

3

4

10

투자금액

306

1,398

144

1,847

        투자 기업 : 쎌 바이오텍     

       - 우리나라의 대 덴마크 투자는 대부분 덴마크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이며 2006년도에 (주)쎌바이오텍사가 법인 설립을 위해 1,018천불을 투자한 것이 대표적인 투자진출 사례

      ○ 쎌바이오텍 이외에 현지 진출기업으로는 대한항공, 두산엔진, 엠텍비젼 등 5개사이나 모두가 지사나 연락사무소의 형태

 3. 농업현황

  가. 일반현황
      유틀란드 반도 및 406개 섬으로 구성된 덴마크는 면적이 43,094㎢로 한반도의  1/5 정도의 크기이고, 인구는 541만명이며 1인당 GDP는 57,021불이다.
      ○ 농업 종사자 수는 02년 188,400명에서 03년 186,900명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가구당 경지 면적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덴마크의 농업생산물의 60%가 수출되고 있으며, 이는 총 덴마크 수출의 13%를 점유하는 양으로 주요 수출국은 EU, 일본, 미국 등이다.
      ○ 연간 농산물 생산자 소득
         - 곡물생산자: 106,000DKK(2002년) → 240,000(2003년)
         - 가축생산자: 175,000DKK(2002년) → 187,000(2003년)
         - 돈육생산자: 131,000DKK(2002년) → 140,000(2003년)
      ○
덴마크 농가의 44%는 농작물 재배 농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소사육 농가는 전체 농가의 22%, 돼지 사육 농가는 11%, 기타 가축 사육농가 7%, 혼합농은 16%를 차지하고 있다.

      ○ 덴마크는 작은 크기의 나라이지만, 지역별로 기후 및 토양의 상태가 다양해 지역별로 다양한 농산물들이 생산되고 있다.
        -
사탕무를 이용한 설탕 생산은 섬의 남동지역의 대표적인 산업이며, 현재  덴마크의 설탕 생산은 과거처럼 설탕 협동농장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Danisco Sugar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
이 회사는 현재 스웨덴, 핀란드, 독일, 리투아니아에서도 설탕을 생산하고  있으며 EU할당량의 7%에 해당하는 약 1,000,000톤의 설탕을 생산해 10억 유로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 Funen 지역은 덴마크 원예의 중심지로 분화, 절화, 시설채소 등이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 원예단지에서 생산된 분화의 80%가 전 세계로 수출 되고 있다. 덴마크는 네덜란드에 이어 세계 2위의 분화 수출국임
       - 유틀란드 반도의 서부 지역은 소금기가 많은 지역으로 고구마 재배에 
매우 적합한 지역이며 이곳에서 생산된 고구마는 대부분 칩이나 전분 또는  냉동고구마로 가공되고 있다.

  나. 농업의 위치
    (1) 농업의 구조

      ○ 덴마크의 경지면적 2,666천ha로 전 국토의 62%를 차지하며, 총 농가수는   46,500호이며 이중 축산농가의 비중은 전체 농가의 55.8%를 차지한다.
      ○ 덴마크 농가의 농가당 경지면적 56.5ha로 이는 한국 농가의 평균 경지
  면적(1.48ha)의 38배 규모이다.

    (2) 주요 농산물 생산(천톤)
      ○
축산물: 우유제품(버터, 치즈) 4,675 돈육 1,898 쇠고기 161 가금육 205 등
      ○
곡류: 밀 4,702 보리 3,776 감자 1,411 사탕무 2,857 짚 3,416 두류 125 등
  ※ 생산된 농산물은 33.8%가 덴마크 내에서 소비(소비 27.5%, 가공 6.3%)되며,   66.2%가 수출되고 있다.

    (3) 농산물 수출(2003년)
      - 54,159 백만 DKK(약 82억불), 수출국 130여개국
      ○ 주요수출국(백만 DKK): EU국 32,125(59.3%), EU이외국가 22,034(40.7%)
        ① 독일 10,044 ② 영국 7,658 ③ 일본 5,774 ④ 기타 EU국 5,529
      - 축산 관련 수출비중이 81.5%로 축산물에 전문화
  ※ 돈육 생산량 세계11위, 돈육 수출 1위, 곡물은 대부분 가축사료로 활용

  다. 주요 부류별 현황
    (1) 작지만 그러나 강한 - 가금류산업
      ○ 덴마크의 320명의 가금류 생산업자들은 1억 3000만 마리의 닭, 칠면조,
  오리 그리고 거위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는 10년 전에 비해 20% 생산량이  증가된 규모이며, 덴마크 1인들의 1일 가금류 소비량 역시 10년 전 7kg 에서 2004년 22kg으로 늘어남
      ○
1990년대 덴마크의 가금류 업계는 살모넬라균의 확산을 경험했는데 당시 업계는 치열한 노력으로 가금류의 살모넬라균 감염율을 80%에서 2%로  낮추었으며 자발적으로 항생 성장 촉진제의 사용을 자제하기 시작함
      ○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확보된 식품의 안전성은 가금류 수출에 초석이 
되어 현재 덴마크에서 생산된 가금류의 65%를 수출하고 있음. 덴마크의   가금류들은 현재 EU, 중동, 아시아 등 100여 개국으로 수출되고 있음

    (2) 덴마크 농업의 꽃 - 돈육 산업
      ○
덴마크의 고대 전설 중에는 오딘 신의 집 떨어진 바이킹 영웅들은 사에니머가     가져다주는 최고의 돼지들에서 나온 맛있는 고기를 먹었다고 전해지고 있음. 이 전설에서처럼 덴마크는 예로부터 좋은 돼지가 생산되는 지역이었으며, 세계 제일의 돈육 수출 국가임
      ○
덴마크는 2004년 190톤의 돈육을 생산했으며 이들 중 90%를 세계 130여 국가에 수출하고 있으며, 60,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돈육과 관련된 일에  종사하고 있음

      ○ DANISH라는 덴마크의 돈육 상표는 영국에서 처음 소개된 이래 안전하고 좋은 돈육이라는 이미지로 전 세계로 퍼져 나갔으며 특히 일본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음. 현재 일본으로 수출되는 덴마크 돈육의 가치는 일본이 덴마크로 수출하는 자동차, 텔레비전 등 전기기구들의 가치를 앞서고 있음
      ○ 이러한 돈육 수출은 돈육 산업의 협동조합 시스템의 공공하게 잘 갖추어진 기반시설 및 제도에 기인함. 돈육과 베이컨 가공 공장은 현재 250 만마리의 돼지를 매년 생산하고 있는 만여 명의 돼지 농부들이 소유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합된 구조는 돼지가 농장에서 부터 식탁에 오를 때까지의 안전성 및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했으며 환경과 동물 복지에 대해서도 관리가 가능케 했음
 ○ 현재 양대 돈육 가공회사인 Danish Crown과 TiCan은 덴마크에서 생산되는 95% 이상의 돼지를 가공하고 있으며, 덴마크 돈육 협회인 The Danish Bacon & Meat Council은 지속적으로 전 세계 소비자의 입맛과  취향의 변화를 조사해 덴마크 돈육의 세계 시장에서 높은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음

    (3) 통합과 변화 - 유가공업
      ○
덴마크의 유가공업계는 최근 엄청난 변화와 통합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음,   약 38개의 유가공 협동조합과 개인 농장이 하나의 협동조합으로 통합되어 덴마크 우유의 90%를 집유하고 있어 유럽에서 가장 큰 낙농업체(Arla Foods)로 재탄생함
      ○ 높은 품질과 고부가가치의 유제품의 2/3는 독일, 스웨덴, 영국 등을 비롯한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으며, 중동 및 일본 지역으로도 수출선을 다변화 시키고 있음
      ○ 국제화 및 세계화는 덴마크 유가공업계의 강점으로 세계 여러 기업들과
경쟁하는 동시에 국경을 넘어선 타국가 기업과의 협력체제를 구축하기도 함

    (4) Emerging Market - 덴마크 유기농 시장
      ○ 유기농 식품
        - 유기농 허가받은 농가: 3,595농가(2002년) → 3,263(2003년)
        - 유기농 농산물 재배 면적: 178,361ha(2002년) → 168,000ha(2003년)
        - 농가별 평균 재배 면적: 48ha(2002년) → 48ha(2003년)
      ○ 덴마크는 유기농 식품 생산과 소비의 선구자로 1980년대 중반부터 유기농 식품을 생산 소비하기 시작했음
      ○
1998년에 유기농 관련 법안을 마련했으며 유기농 라벨을 사용하기 시작했음
      ○ 설문조사에 의하면 덴마크 소비자들의 2/3 이상이 유기농 제품을 선호하는 등, 소비자들의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은 급속히 증가해 일반 편의점에서도 유기농우유, 씨리얼, 야채 등을 판매하기 시작함
      ○ 일부 유기농 식품을 생산하는 농장들은 소비자들을 높은 관심에 맞추어
도시에 직영 판매점을 개설하기도 하고 있으며, 이 직영점에서는 식품을 판매할 뿐만 아니라 유기농 제품의 생산 과정 또한 설명하고 있음

    (5) 덴마크의 쇠고기 생산
      ○ 덴마크에서는 연간 170만 마리의 소와 150,,000톤의 송아지 고기가 생산
되어, 내수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음. 특히 덴마크 어린 수소고기는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등의 남유럽에서 인기가 있으며, 러시아  또한 중요한 수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음

    (6) 수출 농업의 기반 - 곡물 농업
      ○ 덴마크에서 생산되는 곡물은 대부분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는 등 자국내에서의 소비량이 많아 생산량에 비해 수출량은 적은 편임
      ○ 덴마크에서 생산된 곡물은 덴마크 가축 사료로 가공됨에 따라 가축 사료의 안전성 확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는 덴마크 육류의 품질보장에 초석이 되고 있음

  라. 농업 발전 과정
    (1) 농업운동의 태동(1800년대)
      ○
농민소유권 확립 + 농민교육실시(국민고등교육운동) ⇒ 협동운동의 선행조건

    (2) 농민의 자각과 민주시민의 가치체계 형성, 경제위기(1897∼1914년)
      ○ 일부 국토의 손실(프러시아 침탈) ⇒‘밖에서 잃은 것을 안에서 찾자’⇒  
일백만ha 황무지개간: 70만ha 개간, 20만ha 임야조성, 25,000개 신규농장
      ○
독일시장의 상실과 값싼 미국산 옥수수 유입에 따른 경제위기 ⇒ 시장개척

    (3) 1945년 이후
      ○ 세계대전이후 영국경체침체, 수출시장상실, 타국의 농업보호정책, 농업인구감소 ⇒ 농업위기직면 ⇒ 농업구조조정 촉진(소농장 소멸, 대농장  출현) ⇒ 농산물 수출증가 확신 ⇒ 1973년 EEC가입, 수출활로 계기

    (4) 최근 농업 정책의 특징
      ○ 덴마크 농업은 EU에서 정한 농업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받으며, EU회
원국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국내 시장이든, 국제 시장에서 판매되든 상관없이 세계 시장에서 형성된 것보다 더 높은 판매 가격을 보장 받음
      ○ 경제적으로 덴마크 농업은 EU 농업 정책에 많은 도움을 받으며, OECD 에서 생산 보조금 등가(PSE)의 방식으로 집계한 자료에 의하면 1992년  덴마크가 받은 지원액은 19십억 크로나에 이름
      ○ 1992년 EU의 변화에 있어, 초기의 보조 합의에 대해 농업 생산물과 보
조금을 점차 감소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보조금의 감축과 생산품 보조금 지급보다는 재배 경지 보조금 지급제 선택을 통해서 이 일을 추진 하고 있음

    (5) 덴마크 농업의 성공 요인
     <협동조합 + 교육·연구·지도 + 안전·환경>
      ○ 농업발전과정에서 자생적으로 태동한 개척의지를 바탕으로 조직된 협동 조합에서 생산자가 주체적으로 시장 적응 및 주도
      ○ 변화되는 시장 트랜드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 교육, 시장관리
 등 합리적이고 유기적인 메카니즘을 정립·운용

Ⅲ. 현지 주요 연수내용

1. 빌홀름대학 농업연수 

 빌홀름대학은 덴마크의 16개 농업대학중 하나로 덴마크 낙농업의 주요 거점인 애그리콘밸리의 농업경영자, 농업기술자를 공급하는 중요한 인력 양성기간이다. 생산자에게 필요한 이론교육과 실습을 진행하는 이곳은 철저하게 이상적인 직업에 필요한 자질배양에 중점을 두고 인근 산업체와의 네트워크를 통한 유기적인 산학연계, 관련 연구기관들과의 네트워크, 현장 전문인력을 자문관으로 활용한 철저한 현장교육 등이 어우러져 있다. 국제 농업관련 연수과정도 운영하고 있는데 이번이 두 번째 한국인 연수라고 하였다.

 가. 덴마크농업과 지도사업의 역할

  (1) 덴마크 농업의 과거와 현재 :  강사 Mr. Michael Ellermann

○ 농가현황 : 140,000명(1970) ⇒ 41,384명(2009)

    41,384명 중 전업농이 18천명으로 양돈 8천명, 양농 9.5천명, 작물생산에 5천      명이 종사하고 있다. 농업인 비율은 전체 고용인의 5%(2007년 6.5%) 인데  지난 3년간 약 5천명의 농가가 감소하였으나 농가당 평균경지면적은 1970년 21ha에서 2009년에는 56ha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비율은 국토의 62%로 이고 농업의 생산성이 타산업 생산성보다 월등히 높다.

 ○ 낙농

     - 농가당 소 사육두수 : 10두/농가(1970)  ⇒ 115두/농가(2007)

      - 유량 : 12L/일(1970) ⇒ 28L/일(2007년 - 로봇착유기 사용)

      - 소 육종목표 : 우유 단백질 함량 증대(약 4.5%), 건강, 체력 강할 것

 ○ 양돈

      - 돼지 연간 출하두수 : 70두(1970) ⇒ 3,239두(2009)

      - 년간 생산율 : 모돈 1마리가 27두/년 생산(회전율 2.2~2.3)

       ※ 한국 18마리/년

      - EU보조금은 땅에 대해 지원(땅이 있어야 돼지사육 가능하므로)

     - 증체량 : 893g/day

      - 생산량이 덴마크국민 소요량의 2배(수출)

        ※ 농업생산량의 2/3수출

      - 2005년 자유로이 움직일수 있는 돼지사육공간 확보(법으로 규제)

      - 돼지 육종목표 : 자돈 5일 이상 생존, 증체량, 체력, 고기 비율(60% 이상) 등

 ○ 작물분야

     - 재배면적 : 300만ha(1950) ⇒ 260만ha(2009)

      - 작물별 생산량 변화                                   

(단위 : 1,000ha)

작 물 명

1950년

2009년 

비고

79

729

 

호밀

131

44

말로 농사 지을때 사료로 사용

겨울보리

-

144

 

봄보리

562

449

 

귀리

539

67

 

감자

104

39

수입물량 증가

비트

411

5

말 사료용

옥수수

-

172

기후 온난화로 재배가능

카놀라

12

162

유지식물


    - 화학비료 사용량 : 질소 412M/T(1984) ⇒201M/T(2009) : 가축분퇴비로 대체

    - 단위면적당 적정 사육두수 정하고 분뇨는 퇴비로 토양환원

    - 작물 생산량 변화                                  

  (단위 : 100kg/ha)

작 물 명

1950년

2009년 

비고

36.5

81.7

 

호밀

23.9

55.2

 

겨울보리

-

65.0

 

봄보리

34.3

55.5

 

귀리

32.3

45.7

 

 

 ○ 수출현황

   - 덴마크 수출량의 19%를 농업(농산품)이 차지

   - 농업생산량의 2/3수출(150억 EUR)

     돼지 30%, 양농 18%, 쇠고기 및 가금류 5%, 기타 축산 13%, 동물털 8%, 채소류 17%

   - 주요 수출국 : EU 68%, 기타 32%

     독일 22%, 영국 12%, 스웨덴 9%, 기타 EU국 25%, 일본 7%, 비 EU국 25%

 (2) 덴마크 농업의 특징 : 강사 Ms. Sanne Chipeta

 ○ 농업여건 변화

   - 대부분이 농지 소유 및 경영(자영농)

      ※ 현재 농가당 농지 소유규모가 커져 구입 등이 어려우므로 여러사람이

         동시에 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도록 추진(2010년 3월 농지개혁)

   - 전문적 농업교육 이수

     - 30ha이상의 농장경영을 위해 약 4년 동안 이론과 실기 교육 필수

   - 전체농업인이 농가조직체의 일원

 ○ 농촌지도서비스

   - 농민연합(협동조합)이 지도서비스조직 소유

   - 지도서비스 받을때 농업인이 자문료 납부

     ․지도사 현지출장 : 100유로/시간(전화상담도 유료)

      *Local Center예산의 75%가 농가회계관리 비용에서 나온다

     토양검정 : 200DKK/점(약 4만원)

     ※ 중앙지도조직 1개소 500명,  지방지도조직 32개소 2,900명

   - 지도사업의 결과 농가에 큰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보험으로 해결

 ○ 상업적 협동조합

   - 농업발전과정에서 자생적으로 태동한 개척의지를 바탕으로 조직된 협동조합 에서 생산자가 주체적으로 시장 적응 및 주도

   - 변화되는 시장 트랜드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 교육, 시장관리 등 합 리적이고 유기적인 메카니즘을 정립·운용

   - 농민연합(협동조합)이 회사소유(농가공동소유 : 생산,가공,판매까지 공동추진) 농자재 구입 등과 같은 영농자재관련 자재협동조합과, 생산물 판매와 같은 생산물협동조합, 재정관련 협동조합으로 체계적 구성되어있고  이상의 3개 협동조합은 덴마크 식품위원회에 소속되어 있음  덴마크의 협동조합은 선진모델로 가장 좋은 사례로 꼽히고 있으며 국가 의 보호없이 민간기업과 경쟁하여 당당히 경쟁력을 높이고 오히려 민간 기업을 압도하고 있음

     덴마크 농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기반은 바로 협종 조합운동의 활성화  때문이며, 덴마크 식품 산업내의 주요 기업들은 협동조합의 형태로 농부들에 의해 소유, 운영되고 있음(민주적인 소유구조)  협동조합은 농부들의 이윤극대화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농부들에게 생산요소를 공급하는 동시에 그들이 재배한 농식품들을 모두 수매해 판매, 수출하고 있음   농업인 생산량에 따른 기금 모금 → 농업부분(연구, 지도) 투입됨  (농민 힘 강화측면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기금조성이 중요)  품질인증은 회사에서 인증하는 인증서가 있어야하며 농민이 만든 것으로 강제조항은 아님.

   - 연간 이익을 농민에게 재분배(농가별 생산 kg에 따라 분배)

   - 운영목표

     정책결정시 강한 영향력 확보

     사료 등 원료 저가구입

     생산 출하, 가공산업에 부가가치 더하기

    - 농업조직체 상호관계


【 덴마크 농식품위원회 】

○ 농업관련 협회, 협동조합, 식품 산업과 관련된 수많은 전문 기구들의 연합조직

 

 ○ 식품위원회는 농업인과 협동조합이 운영하고 있어 농업인의 총괄적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가의 농업정책 입안시 강한 영향력행사.

    덴마크 농산업은 농업 관계 기계 산업에서부터 축사 및 가공시설 건축   

    자재, 농업교육 및 지도 분야 등 전 분야가 덴마크 농업 협의회(Danish  

    Agriculture and Food Council)를 중심으로 공고한 협력 체제를 구축  

 

 ○ 주요 임무: 법안 기초(농업 및 관련 산업가치의 중요성을 부각), 수출   

     지원 및 정보 분석·전파농업교육 및 지도 등 수많은 농업 관련 기구와        사업체의 비서 역할을 수행

    - 정책분야: 환경오염, 식품안전 관련 규정을 EU 기준치보다 강화 ⇒          마케팅 활용의도

    - 연구분야: 환경문제에 역점(축산물 분뇨 문제, 살모레라 균 퇴지 등)

 

 ○ 목적: 정부와 의회, 중앙부처, EU, 기타 국내외 기구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덴마크 농업의 권익을 보호하는데 있음

 

○ 활동영역 :

   ①환경과 에너지  ②연구와 식량생산  ③식품 안전성과 가축질병

   ④정책건의 및 컨설팅  ⑤무역정책 및 수출촉진  ⑥양돈생산

   ⑦농업지식센터  ⑧ EU  ⑨자회사 운영


 ○ 장기 신용

   - 장기 신용 : 30년간 융자 등

 (3) 농촌지도사업의 발달 : 강사 Ms. Sanne Chipeta

  ○ 덴마크농업 성공요소

    - 주변에 산업국가들이 많고 식품은 덴마크에서 수출(주변 시장조성이 잘됨)

    - 농업분야 강도 높은 지식 창조 및 교육전파

    - 농업인 중심의 조직 및 제도

    - 농업정책이 시장 지향적이 되도록 입안

  ○ 농업 교육 및 연구

    - 농업 전문 교육을 통한 경쟁력 있는 농민기업가 양성

     ․30ha이상의 농장경영시 4년 동안 이론과 실기 교육 필수(기업가 교육)

     ․이론교육(법률, 회계, 생산관리, 컴퓨터 등) 및 실기교육 병행(농장실습 등)

     ․교육 슬로건 : ‘솔선’‘책임’‘자립’

    - 연구개발 우선순위는‘안전과 환경’⇒‘연구개발’은 곧‘돈’이라는 개념

     ․생산 및 가공 자동화, 위생시스템 개발 중점(경제성과 안전성)

      ⇒ 노동집약 생산은 포기

     ․연구개발 결과는 즉시 생산에 활용: 지역 농업지도센터를 통해 전파

  ○ 교육 및 지식전파 역사

    - 농업교육 역사

     ․1814 : 보통교육법 실시

     ․1844 : 국민고등학교

     ․1850 : 수의사 교육(축산물 수출)

     ․1858 : 국립수의농과대학

     ․1860 : 농업학교설립(농업인 교육- 지역농민조직 결성 - 강의 및 토론)

     ․1870 : 지역신문에 연구결과 논문 게재

     1871 : 지도사 탐생(버터 품질향상 위해 처음 생김)

     ․1887 : 가축법 개정 - 자문활동관련 기금조성(지도사 고용)

    (농업인 자식을 후계시킬때 다른 농가에서 일하며 배우도록 하는 것이 전통)

    - 지도서비스의 영역확대

     ․1870년대 : 낙농분야 지도서비스

     ․1880년대 : 일반축산분야 지도서비스

     ․1900년대 : 식량작물분야 지도서비스

     ․1910년대 : 농가회계분야 지도서비스

     ․1920년대 : 생활개선분야 지도서비스

     ․1940년대 : 농업기계, 4H분야 지도서비스

     ․1980년대 : 유기농업분야 지도서비스

     ․2005년   : 농업인 자기능력개발 관리 등

   ○ 정부의 농민조직 활성책

     - 농민조직에 고용된 지도사의 임금 50% 정부지원

     - 농업혁신을 위한 기금조성용 세금부과(농민조직이 기금관리)

     - 육종, 소 전시(농민조직운영) 지원

   ○ 덴마크 지도서비스의 특징

     - 사용자(농업인)가 조직하고 관리함

     - 사용자 비용 지불

     - 지도사의 독립성(외부기관, 기업에 중립)

     - 정부기관이 아니므로 감시기능이 없음

     - 모든 품목에 대한 서비스

   ※ 농촌지도사 구분

     ① Technician : 학사급

     ② Adviser : 석사급(여성비율 50%)

     ③ National specialist : 석사이상, 박사(여성비율 50%)

     ④ Accountants : 회계분야 관리사(여성비율 95%)

       ※ 실제 학력수준보다 자문서비스 역량을 중시함

       ※ 여성농업인이 지도사로 많이 참여하고 있음

(4) 지도와 연구의 연계 : 강사 Ms. Bodil Hjarvad

  ◦ 연구 및 지도조직(현재)

  

이론  ↔  실천

 

 

 

연구기관 1,200명

중앙 지도조직 500명

(Knowledge Center)

농업대학 16개

 

지방 지도조직

32개소 2,900명

 

 

 

 

 

농업인 50,000명

평균농장규모 : 57ha

농업 관련분야 종사자 150,000명


  ○ 농업자문기관(DAAS : Danish Agriculture Advisory Service) 

   - 중앙 및 지방 지도조직 : 3,400명

    - 고객 : 45,000명(농업인 대부분)

    - 농업자문위원회에서 컴퓨터로 생산품의 관리 등 지도사항을 분석정리 →    전국 지도센터에 전달 → 농민소집 → 지도 → 생산에 즉시활용

    - 회계, 농경시비, 가축선정, 축사건축, 작물보호, 가축방역, 토양 분석, 장비  점검 등 지도내용 다양

    - 보유 know-how는 전 세계에 소개 : 덴마크 농업우위 과시 및 지식수출


【 농업 코디네이터】

 ♣ 코티네이터란 농업분야 연구와 지도를 연결하여 지식의 현장 적용을

    돕는 지도사로 Knowledge center 에 소속 (현재 1명)

 ♣ 코티네이터의 역할(지도팀간 업무조절 및 연구개발과제 제안)

    ◦ 농업 트렌드를 끌어내고 이에 부합하는 연구개발 요구 및 자문

    ◦ 연구결과 현장실증시험 - 보안 및 개선책 제안

    ◦ 새로운 연구과제 발굴해 식품위원회에 제안

  * Green Book 제작 : 전국에서 모은 연구자료를 엮은 책, Green Bible

    이라고도 부르며 농민에게 매우 좋은 정보자료이다.  


    - 지도사의 역할

     ․새로운 지식의 신속전달

   ․작물생산, 가축사양 기술 자문 : 농가 맞춤형 자문, 농가가 필요로 하는 모든 부분에 대해 서비스 제공

     ․전략적 계획, 재정, 세금, 인력개발, 사업세부계획 등 자문

     ․혁신, 개발

     ․현장실증시험(포장시험 등)

     ․기타서비스 - 회계, 회계검사, 법 및 규제상담, DB구축관리, 경영관리 등

     ※ PDA를 활용한 체계적 데이터관리

        농가가 PDA에 현장정보(소 개체별 정보, 농장 필지정보 등) 입력하면 지역 및 중앙 지도서비스센터에 동시 공유됨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농가 지도사업 이뤄짐

     ※ 국제환경변화에 따른 새롭게 속출되는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인은

        지도서비스 항시 요구

       - 에너지 생산, 기후변화, 자연환경 보존

       - 다양화, 국제화, 생산기술의 통합, 식품안전성, 이력추적

       - EU 규제강화(IPM의 8가지 원리 2014년 까지 전체농가 실천 준수 등

【 덴마크 농식품위원회 운영기금 (2006년) 】

 ◦ 수입 : 4억7천7백2십억 DKK(덴마크화폐)

 ◦ 수입내역 : 사용자 수수료(57%), 농업위원회자문료(3%), 세금환급(20%),

              프로젝트 기금(EU, 민간 등 20%)

  ※ 2004년부터 국가지원금 없어짐

 ◦ 지출 : 4억7천8백6십억 DKK(덴마크화폐)

 ◦ 지출내역 : 개발(33%), 교육(11%), 실험(17%), 기관운영비(10%),

              특별지식자문(15%), 일반지식자문(14%)

 (5) 빌홀름대학의 농업교육 : 강사 Mr. Michael Ellermann

  ○ 건립 : 1956년(사립대 -  학생수에 따라 정부보조금 받아 학생수업료 없음)

  ◦ 신입생수 : 191명(2009년)

  ◦ 숙련 농업인이 되기 위해 3년6개월의 교육 받음

  ◦ 교육과정 : 숙련농업(5개월 과정), 생산매니저(5개월), 농장-비지니스 매니저  (새 농장건립 등 5개월), 농업경제(5개월) 등

   - 생산매니저 과정 거처야 30ha의 농지소유 가능

   - 농장-비지니스 과정 거치면 더 넓은 농지와 더 많은 융자 가능

   - 학생들은 대학교육 기간동안 농장에 고용되어 일정급료 받음(실습)

  ◦ 학교비전

   - 성공 농업인 육성

   - 지도사 등 농업관련 산업체에서 일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농업분야 최신지식 보유로 학생교육

     졸업후 진로 : 농업인 5%, 농업관련 기업 1~2%, 대부분이 농장 매니저로

       일하고 일부만 다른 분야 취업

2. 덴마크 낙농가 현장학습

 가. 방문농가 현황

   ○ 농장주 : Mr.Svend Nielsen

   ○ 농장규모

    - 1950년에 부모가 농장을 구입하여 세대전수

    - 젖소150두(홀스타인), 농경지 210㏊(목초, 옥수수, 밀)

    - 덴마크에서는 적은 규모의 농장이며 교육농장1) 운영

    - 3자녀(첫째아들-exchange plan, 막내딸 이웃농장 일)

   ○농장운영 : 3명

    - 3명(농장주 부부, 고용직원2))이 각각 분야별 분담.

    - 경지 활용

     ������ 목초 30㏊, 옥수수 30㏊에서 전체 사료의 60%를 자체 생산하고 나머지  땅은 밀을 생산하여 돼지사육농가에 판매   

    - 젖소 사료 : 목초 +옥수수 +프로테인(콩,카놀라박) + 비타민,미네랄

      * 프로테인은 수입에 의존

    - EU연합의 지원과 통제가 엄격하며 낙농수출이 농업생산물의 2/3를 차지하기  때문에 주변국의 농업상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 물이용 쿨링시스템으로 가정냉·난방 및 분뇨열을 생활에너지로 활용

  나. 낙농(우유생산)

  ○ 우유생산 : 젖소 1마리당 연 12톤 생산(최상위 젖소)

  ○ 착유시스템 : 헤링본 시스템(1일2회 20마리 착유)

  ○ 월1회 우유채취 분석 Test

  ○ 젖소 개별정보 DATA를 PDA에 저장 활용

   ⇒ 어드바이저, knowledge center 공유

  ○ 우유가격 : 2.25 크로네(450원정도/㎏)이며 가격은 회사에서 결정한다

    *한국 800(일반우유)~1,300(유기농유유)/ℓ

  ○ 덴마크는 낙농의 70~80%를 수출하고 있으며 세계시장의 유제품 동향에 따라 가격 연동

  ○ 가축질병 발생은 거의 없으며(No disease), 숫송아지는 2주가 지나면 판매한다.

 다. 농가에서의 어드바이저 활용

  ○ 개별농가 경영현황이 모두 전산화되어 있으며 입력된 데이터는 중앙, 지방기관, 어드바이저, 농가가 공유한다.

  ○ 어드바이저 활용 : 3분야 3명

    - 3명의 어드바이저를 활용하고 있으며, 소생산관련(사료배합비 등),

     작물생산, 회계관리 분야를 각각 담당하고 있다. 특히 농가회계관리, EU의  규제강화에 따른 사항 등은 어드바이저 의존도가 높다.

    - 어드바이저는 농가의 모든 data를 관리, 공유하여 개별농가의 경영을 합리적으로 지도하고 있다. 

    - 어드바이저 활용 비용은 연간 2,000만원 정도로 비용이 비싸지만 어드바이 저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신뢰성을 가지고 있어서 거의 모든 농가에서 활용하고 있다.

    - 특히 회계관리 분야는 대부분 농가가 어드바이저를 활용하고 있다.

    - 공통사안에 대해서는 6~7명의 농가 그룹 토의를 하며 이때 어드바이저를  초청한다. 지불비용은 공동부담한다(시간당100유로, 약150,000원)

    - 안전농산물과 환경에 대한 EU의 규제가 엄격하므로 매년 변경되는 규제, 새로운 기술 및 정보에 대하여 어드바이저를 필요로 한다.

 ○ 어드바이저에 대한 불만

    - 어드바이저를 상당히 신뢰하고 있으므로 불만은 거의 없다. 불만이 있으면  언제든지 교체한다.

3. LRØ 방문 (local agricultural advisory centre 지역농업 자문센터)

                    강사 :  Mr. Jacob Winther Nymand(작물 어드바이저)

 가. LRØ 소개

   LRØ는 지역농업자문센터로서 4지역의 농업인이 참여하는 농민소유회사로서 덴마크내 가장 큰 컨설팅 회사이다. 연간고객은 4,500명정도이며, 직원수는 165명,연매출액은 3,600억원이며 어드바이저 서비스 관할구역은 4개지역이다.

지역센터 구조는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점점 합병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 LRØ의 식량작물 생산 지도

   ○ 정부의 환경에 대한 관심, EU 법, 규제가 엄격한 가운데 포장관리와 농업

     계획 지도

   ○ 현장실증시험을 매우 중요하게 다룬다

   ○ 초보농업인 그룹지도 : 5개 그룹

     - 기초농업교육, 필요주제에 따라 현장견학과 토의 위주

   ○ 토양분석과 관리 *수수료 200크로네(40,000원 정도)

   ○ 분석결과를 토양전자지도화/ All GPS 포지션

  다. LRØ의 미래 도전과제

   ○ 온라인 표시제

   ○ 기계하중으로 인한 경작불모지 생기지 않도록 경지내 기계길 만들기

  라. 어드바이스 실패시 대응

   ○ 보험(회사자체에서 보험 가입)에서 보상

   ○ 어드바이저는 평생고용계약이며 수시처벌은 없지만 실패가 반복되면 해고 조치


4. 중앙지도기관(Knowledge Centre For Agriculture)방문

 가. 인적자원 관리와 개발(HR Management and Development)

   강 사 : Mr. Niels-Henrik Buch(DAAS 인적자원 팀장)

   ○ DAAS의 핵심가치

    - 최전방 습득 : 정확한 지식으로 기술혁신과 결과 산출

    - 신뢰성 : 고객의 수요에 맞춰서 시작하며 시작점은 고객의 needs이다

    - 결과 : 개별적으로 결과가 나와야 하며 그 영향을 계속 추적한다.

    ○ HR 관리와 개발

    - DAAS는 능력자를 이끌어 내어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그들의 능력을 최상 으로 개발하는 것을 열정적으로 한다.

    - 새로운 직원을 모집하고 적합한 인력선발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 DAAS에서 가장 이상적인 사람(직원)은

     ․그 분야 지식과 전문역량이 높은 수준, 잠재력이 무한한 사람

     ․사람과 서로 협력하는 것 매우 중요하다(서비스 마인드)

     ․지식,정보를 농민에게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과 희망이 있는 사람

     ․오픈마인드, 혁신과 변화 태도

     ․자신의 일, 자신의 능력을 독립적으로 개발하는 태도

     ․높은 의식, deadline에 맞추는 능력이 있는 사람

   - 신규직원을 뽑으면 소개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다룬다.

     ․회사일반사항소개 - 세부적인 부서소개 -개인별Kick off-plan소개    

   - 직원개발은 주과업 중의 하나이다

     ․연1회 직속상관과 인터뷰한다 → 협의 후 1년간의 계획을 세우며 계획시  1년 평가와 더불어서 한다.

     ․1년동안  개발계획을 메니저와 함께 만든다

     ․개인뿐 아니라 부서-회사개발계획도 별도 수립한다.

   - 조직관리 원칙

    ․가장 중요한 원칙은 개인 책임제이다. 

    ․자유를 누리면서 일하게 하는 것이 관리 철학이며 자율관리 원칙

    ․대화와 참여를 기본으로 하는 상황 리더십 발휘

    ․개개인 배경과 특성에 맞추도록 관리

   - 직원관계

    ․노동조합 : 직원을 대표하여 모든 문제에 대해서 회사와 협의

    ․건강하고 좋은 근무환경 제공 노력

    ․내부여론 조사 : 2년마다 한번씩 조사하여 리더십 등 관리변화 준다.

    ․직원과 관리자간 유머가 있는 열린 대화

   - 경력자 개발 기회

    ․전문가(specialist)양성

    좁은영역의 깊이있는 전문가 지식이 있어야 하며 지역 어드바이저 중 탁월한 자를 선발한다.

   전문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 농업, 무역, 법률, 기계, 공학 등, 그 중 2/3는  석사를 뽑는다. 공석에 맞는 일을 상세히 검색하여 가장 적당한 사람 선발

    ․프로젝트(기획)관리

    ․관리자

    ․국제 프로젝트 관리

 ○ HR 부서 활동

  - 내부활동 : 신입선발, 소개, 조직발전 관리, 직원상호간상담, 개별 이슈, 발전전략, 직원핸드북 제작 등

  - 외부활동 : 조직관리3), 회사발전전략, HR문제 자문, 직원과 관리자 리더십 핸드북 제작

 ○ 기타

  - 업무 영역이 없어지거나 할 경우에는 다른 영역에 배치하거나 자의에 의해

    퇴직한다.

  - 정년은 65세이며(관리자는 63세), 개인의 희망에 의해 60세에 퇴직 가능하다. 덴마크 공무원의 정년도 같다.

  - 보수제도 : 개인연봉제

  - 부서간 협력, 정보공유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나.  DAAS(Danish Agricultural Advisory Service)

 강사 : Mr. Jakob Lave(DLBR 아카데미 팀장)

  ○ DAAS 소개

    DAAS 직원은 3,400명(어드바이저/컨설턴트, 회계/부기, 행정)이며 고객유형은 대규모 단순농가와 다양한 분야의 고품질 소량농가로, 다양한 요구를 하는 고객(농업인)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것을 계속 배워야하고 뛰어난 기술로서 개별고객에 초점을 맞춰야한다. 고객은 탁월한 프로 기술, 개별 처방, 부과된 일에 대한 준비된 헌신, 농업지식외의 것도 요구한다.

 ○ DAAS 아카데미

   - 전략목표

     ․ DAAS의 모든 직원에게 적합하고 가장 적절시기의 훈련

     ․ 매력있는 좋은 직장 만드는 것

   - 실질적 목표

     ․ 모든 직원이 자신의 교육/개발계획을 갖게 하는 것

       현재 → 1년 → 3년 →.....

      ․ 모든직원을 위한 경력계획 ex)specialist, management 등

     ․ 대학원 졸업한 직원의 Carrier-start -program 참여

  ○ DAAS아카데미의 4가지 주요 목표

시작

 

 

 

 

 

 

신규지도사

 

 

 

 

 

 

경력지도사

 

 

 

 

 

 

전문경력지도사

◦조언자

◦교육계획의컨설턴트도움

◦DAAS아카데미오픈 

코스

 

 

 

 

◦2일교육(2×2days)

◦소개코스

농가와의 개인적

  대화기법과 자문기법

◦DAA아카데미

 오픈코스

 

 

 

◦3일교육(3×3days) ◦농가와의 개인적

대화기법과자문기법, ◦팀웤과 sales

◦그룹활동 촉진

◦DAAS아카데미

 오픈코스

 

 

◦개별 교육 계획

▹대학에서의 코스와   다른 특별한 영역의   더 높은교육

◦맨토역할

◦DAAS아카데미 오픈코스 트레이너 역할

◦DAAS아카데미

 오픈코스

   -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역량 개발

    *체계적인 개인역량수준

     전략적 Level : 회사가 요구하는 목표를 이행하는 기술과 역량 

     Operational Level : 기존기술→ 요구되는 기술 → 유창한 단계

  - 효과적인 학습

사전교육

자체교육

현장접목

needs,준비,목표,동기부여

계획수립, 교육, 실습, 실제,트레이너,방향설정

효과적인 학습,조직과제 관리수준에서의 피드백

40% 투입

20% 투입

40% 투입

   - 보편성을 뛰어넘은 야심찬 훈련프로그램

    ․ 리더-교육 프로그램

    ․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 경제, 소(cattle), 돼지생산, 작물, 환경 등

    ․ 개별성과 프로그램 : 의사소통, 세일즈 전략, 자문도구

   - 일반적인 기술이나 역량을 가장 최신의 것으로 업데이트

 ○ 역량개발과 교육에서의 협력

   - 체계적 계획수립 방법

   - 사용자그룹 확립

   - 강사훈련

   - 평가와 피드백

   - Administration of activities

 * 자문의 정의

  - 서비스역할 → 전문가 역할 →자문역할

                 ↓

   새로운 만족, 새로운 변화, 서비스 지원

○ 농업인은 현장감 있는 프로지도사를 원한다

   - 큰 시각, 거시적 트랜드의 지도사

   - 잘 들어주고 공감해 주는 능력있는 지도사

   - 약속을 지키고 진심을 다하는 헌신 요구

   - 대화, 설득능력 등 농민을 잘 다루는 능력 있는 지도사

○ 미래 자문 역량 개발

   - 개인 커뮤니케이션과 자문방법

   - 역량개발을 위한 팀웤

   - 소비자요구에 의한 sales

   - 자율학습부분 집중

 ○ HR 개발에서 직면한 문제

   - 낮은 실업률(일자리가 많으므로) 농업기피

   - 생명과학에 재능있는 학생이 별로 없다

   - 농업과 자문서비스는 고루한 브랜드라 생각한다.

   - 자문서비스의 품질요구가 증가 

   - 리더십과 관리에 대한 요구증가

 ○ 우수인력 유치를 위한 대학과의 협력

   -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농산업 사례를 가지고 일하게 한다.

   - 어드바이저가 실제로 학생을 가르친다.

   - DAAS에서 경력기회에 대해 학생들에게 알려준다.

   - 대학에서 부스마련 직접 홍보


다. 농업기술혁신을 위한 AGROTECH 전략

강사 : Mr. Niels Henrik Lundgaard.

 ○ AGROTECH 소개

  지식혁신으로 비즈니스 개발을 하는 회사로서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덴마크의

  9개 GTS-institutes 중의 하나이며 비영리 공공회사이다. 대략 9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으며(그중 25~30명이 박사) Agro Food Park 내에 사무실이 있다.

 ○ GTS-institutes 소개

   - 공인된 기술서비스를 주로 중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 사적, 비영리, 베품을 주로하는 9개 institutes가 네트워크되어 있다.

   - 과학기술혁신부에서 승인받아, 과학기술혁신부에서 연구비를 받고 독립적 으로 자문서비스와 기술이전 연구를 한다.

 ○ Agrotech의 미션

   - 식품이나 바이오생산물을 상업적이며 일정하고 공정한 생산발전으로 세계적인 덴마크 과학기관이 되는 것이다.

 ○ Agrotech이 하는일

   -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프로젝트

   - 대학, 중소규모 회사와 혁신프로젝트 수행

   - 기초연구 자문서비스

   - 시험과 실증(입증) 수행

   - value chain 이해와 탁월한 기술을 토대로 한 자문

    ⇒그린하우스 생산, 도시녹화, 가축과 식품생산, 식물(초본)생산, 환경적인 기술, 바이오자원과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탁월한 능력이 있다.

 ○ 개발모델

아이디어 생산

실용가능 

아이디어 검증

생산

제품완성

▸생산코자하는내용    파악과 전망

▸아이디어 우선순위    정해줌

▸시장조사,

  고객요구 분석

▸기술선택

▸대소규모회사    test

▸시장출시

▸기술세부

  전문가 활용


 ○ 자문과 기술서비스의 예

   - value chain 평가와 기후 LCA

   - 지속가능한 가축-에너지-식품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 과학기술 입증 및 평가

   - 이산화탄소 방사량 측량

   - 에너지 용도별 생물자원의 cropping시스템

   - 새로운 농작물의 시험과 입증

   - value chain이해와 전문가 기술을 토대로 자문

    ������ 그린하우스 생산, 도시녹화, 가축과 식품생산, 초본식물생산, 환경적인

     기술, 생물자원과 에너지생산에 능력 있음

 ○ Agrotech의 R&D 프로젝트 2010-12

    - 그린푸드 체인 : 가치지향적인 품질과 자원

    - 도시녹화 : 지붕, 정원, 벽면녹화, 녹색실내환경

    - Green Test Center : 환경적인 기술의 실험과 실증

    - Green Energy : 에너지 용도별 생물자원의 지속공급과 이해력 있는 사용

    ※ R&D 프로젝트

     [ 도시녹화/GLM4) ]

      ▻ 증가하고 있는 도시문제 해결

      ▻ 생물학적필요를 토대로 한 기술해결

      ▻ 녹색생활환경과 새로운 개념 창조를 위해 기존개념 발달

     - 기술서비스-

      ▻ GLM을 위한 기술과 생물학적 필요 설명

      ▻ 녹색생활환경에서 식물의 경작

      ▻ 빌딩도급업자 자문

      ▻ 사무실에서 녹색생활환경을 최대한 좋게 한다

      ▻ 시작에서 종료까지 분석연구(요람에서 무덤까지)

    [Green Food Chains]

      (도전과제)

      ▻ 건강, 삶의 질, 기후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

      ▻ 품질과 자원변수로 인한 전략적 개발 기여

      ▻ 고부가가치상품생산 결정지식 창출 필요

      (기대효과)

      ▻ 천연기능성식품의 효율적 생산

      ▻ 식품개발시 필요한 특정한 기술/의사결정 지원

      ▻ 농업과 식품생산에 value chain 지식 전파

      ▻ 혁신-경쟁력 증강

       ex)우유 품질 측정도구, 어떤 사료를 먹이면 천연기능성 식품이 될까 등


    [식품과 기후변화]

     (도전과제)

      ▻ 기후변화에 대해 기업이 책임 있다

      ▻ 소비자 의식 증가 : 기후변화와 식품생산에 대해 소비자가 알고싶어한다.

     (해결과제 및 영향)

      ▻ data문서화로 농가투입 비용 감소, LCA(Life cycle Assessment)

       ⇒ value chain에 대한 선의의 노력, 가격절감, 기후전략을 위한 투입,

          미래 경쟁력 보증

    [박테리아 감염 경로 차단]

    (도전과제)

      ▻ 가금류 생산에서 고위험 감염과 감염으로 인한 생산가치 하락

    (해결과제 및 영향)

      ▻ 감염경로차단과 박테리아 싸움에서의 기술과 관리시스템개발 

      ⇒ 효과적이고 안전한 생산, 국제경쟁력 강화

     [지속가능한 온실]

     (도전과제)

      ▻ 온실에서의 높은 에너지 소비로 에너지 비용 증가와 높은 co₂방출

     (해결과제 및 영향)

     ▻ 역동적인 기후관리/지열활용/LED 램프와 특수커튼

      ⇒ 과학기술적 해결로 30~60% 에너지 절감

    [그린에너지-미래에너지 근원]

     (도전과제)

     ▻ 재생가능에너지의 타당한 근원 확인

     ▻ 생물자원생산시스템 지속 발전

     ▻ 식품생산과 경쟁하지 않는 생물자원 생산

     (해결 및 효과)

     ▻ 풀과 energy willow의 효율적 규모화에 대한 방법 정립으로 전체적인   Value Chain에 대한 지식구축

      ⇒ 장기적으로 농부가 에너지 공급자가 됨

     [성공적 sweet smell]

     (도전과제)

     ▻ 가축생산에서 냄새방출을 줄이기 위한 유전자 요건 증가

     ▻ 공기정화, 환기와 기후 통제

     (해결)

     ▻ 공기정화기술 자신감

     ▻ 2009 경영품평회에서 가격 혁신

    [미래 낙농 생산]

     (도전과제)

     ▻ 고도의 유연성으로 개념생산시스템의 개발

     ▻ 가장 효과적인 작업량과 실행계획

     ▻ 건강개선 디자인

     (해결 및 영향)

     ▻ Agrotech와 낙농가에서 전문가 혁신워크숍 개최,워크숍 결과를 순위를  매겨서 개발프로젝트를 위한 활동계획에 사용

     ⇒ 낙농생산에서 환경기술 돌파구를 찾다, 2009경영박람회에서 가격 혁신

    [동물복지로 이익 증가]

     (도전과제)

     ▻ 다리를 저는 소와 질병발생정도간의 관련성

     ▻ 새로운 모니터링법의 필요성

    (해결과제 및 영향)

     소에 사용된 소프트웨어개발 전문지식 향상,다리를 저는 소의 빠른 식별을 위한 기구개발

      ⇒동물복지 증가, 더높은 양질의 생산, 농가수익 증가


Ⅳ. 주요연수 성과 및 발전방안

1. 주요연수성과

 가. 덴마크농업의 시사점

   ○ 정부의 농업기술개발 정책 중시와 농업정책 일관성 

   ○ 농업인이 주도하는 자발적 조직체의 성공적 운영방안 모색

     - 바닥으로부터 시작된 발달(농업인 자금으로 시작)

     - 지도사의 중립성(정부, 기업이 아닌 농민을 위해 존재)

     - 조직적 학습

     - 교육, 지식이 농업의 전제조건 및 도구가 됨

     - 농업인이 소유주이면서 소비자이므로 회사경영의 부실 우려가 없음

   ○ 연구와 지도가 분리 또는 통합되어 농업인에게 체계적인 기술전달 효과

   ○ 낙농이 농업생산물의 2/3를 수출하므로 주변국의 상황에 민감함.

   ○ 농업인에 대한 서비스가 분산되지 않고 동일기관(knowledge center)에서  농업기술, 경영, 회계관리, 농업인의 기타요구사항을 함께 다루기 때문에 농업인이 활용하기에 매우 합리적이고 경제적임

   ○ 농업기술 개발의 초점이 생물과 환경에 있음

   ○ 농업인이 되는 교육과 과정을 철저히 규제하고 충분한 훈련뒤에 농부가  되게 하는 것은 전문직업농업인 육성의 토대가 됨

   나. 어드바이저 역할과 역량개발  

  ○ 전문분야별 집중하여 연구, 실천하므로 어드바이저의 전문성이 매우 높음

  ○ 유료서비스이기 때문에 지도사의 자기 역량개발 욕구가 매우 높으며 획일적이지 않고 자유롭고 자율적 개발을 하므로 기술개발 결과 다양성.

  ○ 연구와 현장실증, 실천하므로 그 결과에 대하여 매우 신뢰하고 있음

  ○ 농업인과 기술에 대한 모든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합리적 지도 가능

 다. knowledge center

  ○ 지도사 개인특성에 맞추어 역량개발 및 관리

  ○ 신규지도사의 회사적응 훈련 및 능력개발 대한 세심한 배려

     회사소개를 매우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회사에 대한 신뢰성과 확고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1년간 매니저와 토의하면서 직업적응과 자신의 계획을 세워가는 것은 매우 인상적임

 

 2. 보완점 및 발전방안

   가. 연수기간 및 안내

    ○ 연수국과 연수내용에 대한 사전정보 필요함.

    ○ 짧은 기간이지만 농업전문국가의 농업연수 기회를 얻은 것은 매우

       고무적임. 그러나 연수기간이 짧아 덴마크 농업정보를 충분히 수집하지  못하였음.

    ⇒ 연수기간을 늘려서 충분하면서 여유로운 강의 프로그램 운영과 농업현장 및 문화탐방의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음

   ○ 연수팀에서의 자체통역으로 이해도가 높았으며 연수비용절감 효과도 있음

    ⇒ 그러나 현지문화 탐방 등은 현지가이드 필요함 

  나. 연수내용

    ○덴마크농업정책과 농업인과 지도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은 매우 고무적임

     ⇒ 강의자료 중 내용 불일치(현황,수량 등)는 강사의 신뢰감을 떨어지게 함.

      (최신기술과 정보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회사이면서)

   다. 기타

    ○업무가 바뀌더라도 자신의 전문분야를 계속 개발해야 할 것이며 어학실력 향상 필요하다.

    ○정책적으로 농업분야의 모든 업무(행정, 지도, 연구, 경영, 회계관리 등)를 농촌진흥청에서 수행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 경력자를 선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