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실내공기 오염원을 정화시키는데 실내식물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주요 실내식물인 관엽식물 및 난 등을 이용한 실내공기정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형질전환기술을 이용해 실내외 공기 정화능력이 증진된 식물체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화훼과에서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능력이 증진된 화훼류를 개발하고자 지난 8여 년 동안 연구를 진행했다.
애기장대(식물연구를 위한 모델식물)로부터 포름알데히드 제거 유전자(atFALDH)를 재조합해 제거능력을 알아보고자 페튜니아 계통에 도입한 결과, 일반 페튜니아에 비해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이 24~26 % 증대된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유전자 도입기술의 개발은 관상용으로만 머물던 식물의 기능성을 새롭게 밝히고 실내식물의 효용가치를 더욱 넓히는 좋은 기회로 작용될 전망이다.
한편, 유전자를 도입해 얻은 식물체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변형시키고자 하는 특성 이외의 다른 특성은 변함이 없어야 하는데, 이번에 획득된 페튜니아 식물체는 실내 공기오염 정화능력 증가 이외의 다른 특성은 일반 페튜니아와 동일하다.
농촌진흥청 화훼과 이수영 연구사는 “이 유전자(atFALDH)가 실내식물로 많이 이용되는 관엽식물에 도입돼 공기정화 능력의 원리를 밝히고 나아가 정화능력이 탁월한 관엽식물이 개발된다면 화훼작물의 소비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농업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비차 이용해 오이식물체 쑥쑥 키운다 (0) | 2013.02.05 |
---|---|
씨감자 싹틔워 심으면 수량 늘어 (0) | 2013.02.04 |
적은 비용으로 최적의 재배환경 갖춘 ‘비닐하우스’ (0) | 2013.01.18 |
농촌주민 절반이상 ‘다문화가족에 긍정적’ (0) | 2013.01.17 |
꿀벌 장내 유산균, 프로테오박테리아 등 미생물 공생 (0) | 201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