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이야기

이천쌀이 좋은 이유

아침햇쌀 2009. 6. 29. 14:24

 이천쌀이 좋은 이유

□ 역사적 고찰

 ○ 조선시대 農書(농서) 杏浦志(행포지)(1825)에 "○○이천에서 생산한 쌀이 좋다"고 기록됨

 成宗 (성종) (1490)이 世宗陵 (세종릉) 에 성묘하고 還宮 (환궁)시 이천에 머물던 중 이천쌀로 밥을 지어 진상하였는데 맛이 좋아 진상미로 올리게 됨(이천부사 복승정 문헌)

 ○ 이 지역의 전래민요의 ‘방아타령’과 ‘자진방아’에 보면 "여주이천 자채방아"  "금상따래기 자채방아" 라는 구절이 자주 나온다. ‘금상따래기’는 진상미를 재배하는 논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로부터 이 지역에 자채벼을 많이 심었고 여기서 생산된 쌀이 품질이 좋아 진상미로 올라갔음을 알 수 있다.


□ 입지적 조건

   - 이천은 천혜의 밥맛 좋은 쌀 생산지로 밝혀짐(건국대 김광호 교수외 3인)

 ○ 기후

  - 적정온도 범위 내에서 기온이 타지방에 비하여 다소 낮고, 특히 결실기에 일조량이 많고 밤낮의 기온 차가 커서 결실이 잘됨.

 ○ 토양

  - 토질은 찰흙과 모래가 적절히 혼합된 사양질토양으로 양분흡수가 적절히 잘됨.

 ○ 수질

  - 물은 88%가 깨끗한 지하수를 이용하며 관개수 중에는 밥맛을 좋게 하는 마그네슘    (Mg) 성분이 많음(물이 좋은 정황 : OB맥주, 진로소주, 샘표간장 등이 이천에 소재함)


□ 재배방법

  ○ 품종 : 추청벼(아끼바레) 등 밥맛이 가장 좋은 품종 선택

  ○ 화학비료와 농약을 적게 사용하는 친환경농업 실천


※ 좋은 쌀에는 남성의 성 기능을 강화해주는 ‘옥타코사놀’ 성분이 많음(철학박사 김상원 )

  

 +

=

                  

               「임금님표 이천쌀」 브랜드 파워 1위 !      


◈  각종 브랜드 대상(大賞) 연속 수상

  ○ 2001년과 2003 농림부가 주최한 농산물 파워브랜드 전시회'에서 열린 브랜드파    워 평가에서 “임금님표 이천쌀”이 소비자들에    게 가장 인기가 높은 브랜드로 평가받아 영예    의 대상(국무총리상)을 2회 연속 수상함.


  ○ 2004 대한민국 지역혁신 박람회 공모전     특산브랜드부문 우수상(농림부 장관)


  ○ 2004 코리아 브랜드올림픽 쌀부문 1위  (산업정책연구원)

    -기업은 삼성, 은행은 국민은행, 쌀은 임금님표 이천쌀 !


  ○ 2005 소비자 사랑 국민 브랜드 대상 수상(이코노믹 리뷰)


◈  소비자 선호도 조사결과

  - 쌀 브랜드파워 1위 '임금님표'

  농촌진흥청이 서울시내 1,000여 가구의 주부를 직접 찾아 '쌀 품질에 관한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생산되는 쌀 중 브랜드 파워가 가장 높은 제품은 경기 이천의 '임금님표'인 것으로 나타남. <한국일보 2003. 2. 25> 


이천「자채쌀」의  유래


 자채쌀이란?

   이천을 중심으로 인접해 있는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었던 양질(良質)의  극조생종     (極早生種, 올벼).  ‘자채’라는 용어는 ‘올벼’이라는 의미로 사용됨.

  ※ ‘자채’ 는 시대에 따라 벼의 특성이 변하면서 自蔡 → 紫采 → 紫彩로 불려짐


□ 역사적 기록

  ○ 조선시대 농서(農書)

    衿陽雜錄  (금양잡록) (1491), 山林經濟(산림경제)(1682), 攷事新書 (고사신서)(1771),  增補山林經濟 (증보산림경제)(1776), 海東農書  (해동농서) (1798), 杏浦志  (행포지) (1825) 등에 자채벼의 특성 기술.

                           

  ○ 행포지에 “이천지역에서 생산된 쌀이 좋다(産驪州利川之間者 爲良也)”고 기록

  ○ 朝鮮農會報(조선농회보)(1914)

    품질도 좋고 햅쌀시장에서 1할 이상 높게 거래되어 조사한 기록이 있음.

  ○ 利川大觀(이천대관)(1955년)

        

    “이천 자채쌀 하면 전국에서도 유명한 특산물이다............음력 6월 보름

     (流頭유두)이면 왕에게 진상품으로 되어 오던 것이다.....”

        

□ 자채벼의 특성                                  

                                                 (조선시대 농서)

  

숙기

까락

이삭색

(출수기)

이삭색

(성숙기)

 토성

 물

  비고

빠름(早)

있음

 백색

 황색

膏腴

(고유)

不渴

(불갈)

3월 상순

 解氷初種

    ※ 膏腴 : 기름지고 살지다.    不渴 : 물이 마르지 않음

  ○ 재배적지가 적고 비옥한 토지에 많은 비료와 노력이 소요됨.

  ○ 쌀밥은 희다 못해 푸른기가 돌며 기름이 자르르 흐르고 밥맛이 특히 좋음.


□ 자채쌀과 관련된 용어

  ○ 자채방아 : 자채벼를 쌀로 만들기 위해 찧는 방아

  ○ 금상따래기 : 임금님께 올리는 쌀(진상미)를 재배하는 포장(논)


'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과 한민족   (0) 2009.07.13
쌀 문화 변천단계의 구분  (0) 2009.07.06
올해 첫 벼베기 행사  (0) 2009.06.26
논의 공익적 가치  (0) 2009.06.25
이천쌀의 유래  (0) 2009.06.25